이 책은 주택단지 조성에 관련된 모든 내용들을 일반적인 계획 및 설계과정에 맞추어 편성했고,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장과 도면의 표현을 매우 간결하게 구성하였으며, 또한 실제의 계획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중요한 이론적ㆍ법제적인 계획기준들을 담고 있다. 따라서 이 책은 도시계획을 비롯하여 도시설계ㆍ건축ㆍ토목ㆍ조경ㆍ교통ㆍ환경 등 단지계획에 관련된 전공분야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물론, 실무자들에게도 주택단지뿐만 아니라 산업단지ㆍ업무단지ㆍ관광단지 등 여러 유형의 단지계획 수립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초이론의 이해와 실질적인 단지개발 프로젝트 전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.
2014년 개정
목 차
01 단지계획의 개념과 목표
1-1 단지계획의 개념과 유형
1-2 단지계획 목표와 수립과정
1-3 주거단지계획의 과제
02 주거단지계획의 제요소
2-1 자연ㆍ환경
2-2 공간ㆍ행태
2-3 커뮤니티
03 부지분석
3-1 부지선정
3-2 부지분석
3-3 관련계획 및 법제
3-4 종합분석 및 평가
04 주거건축
4-1 주택의 유형
4-2 주거건축
4-3 주거건축계획 기준
05 외부공간
5-1 외부공간의 역할
5-2 주동배치와 외부공간디자인
5-3 주호군 형성
06 근린주구
6-1 도시생활권
6-2 근린주구
6-3 근린생활권 구성
07 토지이용
7-1 계획의 목표와 과정
7-2 토지용도
7-3 개발밀도
7-4 용도별 면적
7-5 용도별 입지
08 동선체계
8-1 계획의 목표와 과정
8-2 도로
8-3 보행자전용도로
8-4 자전거도로
8-5 주차장
09 획지ㆍ가구
9-1 계획의 목표와 과정
9-2 주택용지
9-3 상업ㆍ복합용지
10 공원ㆍ녹지
10-1 오픈 스페이스
10-2 공원 및 놀이터
10-3 녹지 및 광장
11 조경ㆍ환경
11-1 주거단지경관
11-2 단지조경
11-3 친환경 주거단지
12 생활편익시설
12-1 계획의 목표와 과정
12-2 시설의 종류와 위계
12-3 시설의 규모
12-4 시설의 배치
13 단지기반조성
13-1 공급처리시설
13-2 대지조성
14 도시설계ㆍ지구단위계획
14-1 도시설계
14-2 지구단위계획
14-3 공동주택단지의 지구단위계획
15 단지계획의 시행ㆍ평가
15-1 단지설계
15-2 단지재생
15-3 사업시행
15-4 거주후 평가(POE)
16 주거단지 개발 사례
16-1 국내
16-2 국외
|
저자소개
김 철 수 |
홍익대학교 도시계획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(1985)를 받았으며, 도시계획기술사(1980)를 취득하였다. 1981년부터 계명대학교 건축학대학 도시계획학과에 재직하고 있으며,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부회장 및 대구경북지회장, 대구경북연구원 객원연구위원, 국토해양부 중앙도시계획위원, 대구광역시 도시디자인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, 현재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(혁신도시건설특위)위원, 경제자유구역청 개발자문위원, 대구광역시 도시계획위원등으로 활동하고 있다. |